2025/09/18 2

AI, ‘조각가’처럼 다루면 망합니다

AI, ‘조각가’처럼 다루면 망합니다 (‘사진가’처럼 접근하는 법)2025년 AI 툴을 사용하는 우리 크리에이터들에게 새로운 ‘직업병’이 생겼습니다. 분명 AI가 90%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만들어 주었는데, 우리는 그 결과물에 만족하지 못합니다. “눈동자 방향을 조금만 더 오른쪽으로…”, “배경의 나무를 조금만 더 붉게…” 우리는 ‘완벽’이라는 신기루를 좇아 ‘한 번만 더’를 외치며 몇 시간이고 프롬프트를 수정하고 있습니다.결과는 어떤가요? 수십 개의 비슷하지만 결코 완벽하지는 않은 결과물들 속에서 길을 잃고 결국 처음의 신선한 아이디어가 가졌던 생명력마저 잃어버린 채 번아웃을 경험합니다. 최근 AI 커뮤니티에서 이처럼 끝없는 수정의 늪에 빠져 창의성과 생산성을 모두 잃어버리는 현상을 ‘둠스크롤링(Doo..

AI 2025.09.18

'알파코드2', 인간을 넘어서다: AI가 '코딩'이 아닌 '전략'을 학습했을 때

'알파코드2', 인간을 넘어서다: AI가 '코딩'이 아닌 '전략'을 학습했을 때2025년 9월, 인공지능 역사에 또 하 이정표가 세워졌다. 구글 딥마인드의 ‘알파코드2(AlphaCode 2)’와 OpenAI의 차세대 코딩 모델이 세계 최고 권위의 AI 프로그래밍 대회 플랫폼 ‘코드포스(Codeforces)’에서 인간 참가자 상위 15%에 드는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한 것이다. 이는 AI가 복잡한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에서 인간 최고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는 AI 업계의 ‘스푸트니크 모멘트’와도 같은 충격적인 사건이다.많은 언론들이 이 소식을 두고 “AI가 인간 코더를 이겼다”며 흥분하고 있다. 하지만 오늘 이 글은 이 사건의 본질이 단순히 ‘코딩 실력’의 대결이 아님을 이야기하고자 한다. 다른 블로그들..

AI 2025.09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