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작곡, ‘표절’과 ‘창작’의 아슬아슬한 경계 (K팝 만들기 실험기)
“뉴진스 스타일의 몽환적이고 듣기 편한 K팝을 만들어줘. 여성 보컬, 로파이 드럼 비트, 신스 패드 사운드를 사용하고, 후렴구는 중독성 있게.”
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요구는 최고의 작곡가와 프로듀서 팀에게나 가능한 영역이었습니다. 하지만 2025년 오늘 저는 이 문장을 AI 작곡 프로그램 ‘Suno’의 프롬프트 창에 입력하고 있습니다. 그리고 단 1분 뒤 제 스피커에서는 정말로 그럴듯한 K팝 스타일 음악이 흘러나옵니다.
AI가 만든 이 노래는 놀라울 정도로 훌륭합니다. 하지만 이 감탄의 이면에는 씁쓸하고도 근본적인 질문이 뒤따릅니다. 과연 이 노래는 ‘창작’일까요 아니면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K팝을 교묘하게 짜깁기한 ‘표절’일까요? 오늘 이 글은 제가 직접 AI 작곡 툴을 이용해 한 곡의 노래를 만들어보는 전 과정을 기록하며 기술의 발전이 우리에게 던진 ‘AI 음악 표절’과 ‘인공지능 창작’ 사이의 아슬아슬한 경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.
1. 실험의 시작: AI에게 ‘뉴진스 스타일’을 주문하다
실험은 간단했습니다. 현재 가장 뛰어난 AI 작곡 툴 중 하나로 평가받는 Suno에 접속하여 서두에 언급한 구체적인 프롬프트를 입력했습니다. AI는 몇십 초의 분석 끝에 1분 30초 분량의 노래 두 곡을 완성했습니다.
결과물은 충격적이었습니다. 몽환적인 신스 사운드, 미니멀한 리듬 구성, 자연스러운 여성 보컬의 멜로디 라인은 누가 들어도 특정 걸그룹의 스타일을 떠올리게 했습니다. 기술의 발전에 대한 감탄도 잠시, 제 머릿속에는 서늘한 의문이 피어올랐습니다. ‘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은데?’
물론 특정 멜로디나 가사를 그대로 복제한 것은 아니었습니다. 하지만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, 코드 진행 방식, 보컬의 창법까지, 그 스타일의 ‘정수’를 너무나도 완벽하게 모방하고 있었습니다. 이것이 바로 AI 음악 표절 논란의 핵심입니다.
2. 유령의 정체: AI는 어떻게 ‘표절 같은 창작’을 하는가?
이 ‘데자뷔’ 현상의 원인을 이해하려면, AI의 작동 방식을 알아야 합니다. AI 작곡 모델은 인간처럼 영감을 받아 창작하는 것이 아닙니다. AI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방대한 양의 기존 음악 데이터, 즉 저작권이 있는 수많은 노래를 ‘학습’합니다.
그리고 ‘뉴진스 스타일’이라는 프롬프트를 받으면, 학습된 데이터 속에서 해당 스타일의 음악들이 가진 통계적, 수학적 패턴(예: 자주 사용되는 코드 진행, 리듬, 악기 구성)을 분석하여, 그 패턴과 가장 유사한 새로운 데이터 조합을 ‘생성’해내는 것입니다.
즉, AI는 ‘창조’를 하는 것이 아니라, 기존에 존재하던 것들의 그림자를 조합하여 가장 그럴듯한 ‘재현’을 해내는 것에 가깝습니다. 이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원곡의 멜로디 라인이나 구조와 매우 유사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으며, 이는 법적인 음악 저작권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민감한 문제입니다. 현재 소니 뮤직과 같은 거대 음반사들이 AI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.
3. 창작자의 역할 재정의: ‘작곡가’에서 ‘디지털 DJ’로
그렇다면 AI로 음악을 만드는 것은 모두 비윤리적인 표절 행위일까요?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. 단, 여기에는 창작자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의가 필요합니다. AI 시대의 창작자는 더 이상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‘작곡가’가 아닐 수 있습니다. 오히려, AI가 쏟아내는 무한한 소리의 파편들 속에서 독창적인 조각을 골라내어 새로운 맥락으로 재조합하는 ‘디지털 DJ’ 혹은 ‘프로듀서’가 되어야 합니다.
저는 다음과 같은 ‘인공지능 창작’ 워크플로우를 제안합니다.
- 샘플링 (Sampling): AI를 ‘영감의 도서관’으로 활용하라. AI에게 완성된 곡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는 대신, “몽환적인 신스 코드 진행 4마디”, “미니멀한 로파이 드럼 루프”, “속삭이는 듯한 여성 보컬 멜로디 라인”처럼, 곡의 ‘재료’가 될 짧은 파편들을 수십, 수백 개 생성하도록 지시합니다. 이때 생성된 결과물들은 ‘완성된 곡’이 아닌, DJ가 LP판에서 발췌하는 ‘샘플’과 같습니다.
- 큐레이션 (Curation): 인간의 ‘취향’으로 옥석을 가려라. AI가 생성한 수많은 샘플들 중에서, 기존의 어떤 곡과도 유사하지 않은, 가장 독창적이고 매력적인 조각들만을 ‘선택’합니다. 이 ‘선택’의 과정이야말로 AI가 흉내 낼 수 없는, 인간 고유의 취향과 안목이 개입되는 가장 중요한 창작 행위입니다.
- 재구성 (Recomposition): 나의 ‘창의력’으로 재조립하라. 선택된 AI의 ‘샘플’들을 에이블톤 라이브나 로직 프로와 같은 전문 작곡 프로그램(DAW)으로 가져옵니다. 그리고 그 위에 나만의 오리지널 멜로디를 더하고, 코드 진행을 변형시키며, 완전히 새로운 구조로 곡을 ‘재구성’합니다. 이 단계에서 AI는 더 이상 공동 작곡가가 아닌, 나의 창작을 돕는 하나의 ‘악기’가 됩니다.
이러한 과정을 거칠 때, 비로소 우리는 AI 음악 표절의 굴레에서 벗어나, AI를 활용한 진정한 ‘나의 창작물’을 만들 수 있습니다.
결론: AI는 질문을 던질 뿐, 답은 인간에게 있다
AI 작곡 기술은 우리에게 ‘창작이란 무엇인가?’, ‘오리지널리티는 어디에서 오는가?’라는 묵직한 질문을 던집니다. AI가 만든 K팝 스타일 음악은 그 자체로 완결된 작품이 아니라, 우리에게 주어진 ‘가능성’이자 ‘위험한 재료’입니다.
이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여 손쉬운 모방의 길을 갈 것인가, 아니면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수고를 통해 새로운 창작의 길을 갈 것인가. 그 선택의 기로에서, AI 시대의 진정한 크리에이터의 가치가 결정될 것입니다. AI는 우리에게 무한한 음표를 주었습니다. 하지만 그 음표로 어떤 음악을 완성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우리 인간의 몫이다.
'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AI: 당신의 ‘디지털 쌍둥이’는 누구의 것인가? (0) | 2025.09.05 |
---|---|
Sora 사용법, 진짜 전문가는 ‘이것’부터 만든다 (‘소라 바이블’ 제작법) (0) | 2025.09.05 |
AI 면접관, ‘공정한 심판’인가 ‘편견을 학습한 거울’인가? (0) | 2025.09.05 |
'인간 저작성'을 증명하라: AI 웹툰 저작권을 위한 4단계 워크플로우 (0) | 2025.09.05 |
GPT-5 vs GPT-4o: '창의적인 발산형'과 '논리적인 수렴형'의 대결 (0) | 2025.09.04 |